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64

[Python] 다양한 랜덤값 생성(정수,실수, 행렬, 선택, 범위선택)

목차 파이썬의 Numpy라는 라이브에서 제공하는 Random 메소드를 사용한 다양한 종류의 랜덤 값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에 예제를 통해 쉽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파이썬 정수(Integer) 랜덤 값 만들기 randint 함수를 사용해서 정수 랜덤 값을 만들겠습니다. 예제>> from numpy import random x_list = [] for _ in range(10): x_list.append(random.randint(1,100)) print(x_list) 4~5번 라인: 1~100사이 정수에서 랜덤값을 만들어서 x_list에 채우기 결과>> [21, 12, 40, 29, 13, 82, 76, 29, 3, 12] 파이썬 실수(Float) 랜덤 값 만들기 random의 uniform 함수를 사..

[Python] 리스트 값에 필터 적용하기(Numpy, Filter, Mask, 조건 걸기)

목차 파이썬 리스트(List)에 필터 사용하기 리스트의 값을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값만 출력하기 위해서는 Numpy의 Filtering 기술을 사용하면 됩니다. Filter를 적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는 데 예제를 통해 차례 차례 알아 보겠습니다. 파이썬 리스트(List)에 필터 사용하기: True, False 사용하기 예제>> import numpy as np import random x_list = [] for _ in range(3): x_list.append(random.randint(1,10)) numpy_list = np.array(x_list) mask = [True, False, True] print(numpy_list) print(numpy_list[mask]) 4~6번 라인: ..

[Python] 리스트, 행렬 정렬 (Numpy, Matrix, List)

목차 파이썬 넘파이 Sort 메소드 파이썬의 리스트와 행렬 정렬을 위해 Numpy라는 라이브러리의 sort 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numpy.sort(넘파이 행렬) numpy.sort(넘파이 행렬)[::-1] numpy.sort(넘파이 행렬, axis = 0) numpy.sort(넘파이 행렬, axis = 1) 1번 라인: 기본 정렬 2번 라인: 배열일 경우 리스트 간 정렬 3번 라인: 열(Column) 정렬 4번 라인: 행(Row) 정렬 위 그림을 통해 axis 방향을 참조 하시면 됩니다. 아래 예제 코드를 통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배열 값 정렬 하기 (Matrix Sorting) 예제 예제 코드>> import numpy as np import ..

그림판/PPT 이용해서 동일 색상 찾기, 적용(Color 정보, Paint)

목차 그림판(Paint) 사용해서 동일한 색깔 찾기 1. 아래 그림과 같이 스포이드 형태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빨간색원) 2. 그림판 화면에서 찾고 싶은 색이 있는 부분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색1의 색상이 동일 색상으로 변경됩니다. 3. 상세 정보는하단에 색편집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색상, 채도, 명도에 대한 정보와 RGB 비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PT(파워포인트) 사용해서 동일한 색깔 찾고 변경 해보기 1. 도형 내부의 색을 알고 싶을 경우 아래와 같이 도형 서식 설정화면에서 색을 클릭합니다. 스포이트 클릭 후 찾기를 원하는 색상에 클릭하면 동일 색깔이 클릭 됩니다. 그리고 적용하면 똑같은 색깔로 변경해서 적용 가능 합니다.

여러가지공부 2022.01.12

[Python]리스트 안의 내용 검색 (Numpy, where, search, 값 위치 찾기)

목차 [Python]리스트 안의 내용 검색 리스트의 value(값)을 검색하고 index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파이썬의 넘파이(Numpy)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아래의 method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Numpy.where(조건, 조건에 맞는 값을 바꿀 형태, 조건에 맞지 않는 값 바꿀 형태) 위에서 조건 값만을 입력 할 경우 index 위치 정보만 얻을 수 있습니다. 위 조건 값을 모두 입력할 경우 원하는 조건에 맞추어 리스트(list)안의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를 통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Where을 사용해서 값 검색하고 변경도 해보기 검색 예제>> import numpy as np import random a_list = [] for _ in range(10)..

[Python]날짜 더하기 빼기(Numpy, Datetime)

목차 Numpy Dtype Datetime 파이썬의 Numpy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데이터 종류를 Datetime으로 설정하면 날짜에 대한 처리를 파이썬에서 할 수 있습니다. 정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today = np.array(["2022-01-11"],dtype="datetime64[D]") Numpy에서 데이터 타입 명을 datetime64 라고 설정하면 날짜의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datetime64 라고 사용하는 이유는 datetime 라는 이름은 이미 파이썬에서 사용하고 있어서 Numpy에서는 datetime64를 사용합니다. [D]는 Day를 의미하고 Day 단위로 계산이 가능 합니다. 날짜 더하기 빼기 예제 예제 코드>> import numpy as np Date1 = n..

[Python]Numpy에서 dtype이란? (데이터 종류, Type)

목차 Python Basic Data Type (파이썬 데이터 종류) 파이썬의 데이터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정수 실수 Boolean 문자열(string) 복소수 아래는 데이터 종류를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파이선 데이터 종류 확인 예제코드>> print(type(1)) print(type(1.1)) print(type(True)) print(type("hi")) print(type(1+1j)) 결과>> Numpy Data Type (넘피 데이터 종류) 다음은 파이썬의 라이브러리 넘파이(Numpy)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종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integer, 표기방법: i Unsigned integer, 표기방법: u float, 표기방법: f complex, 표기방법: c boolean, 표기방법..

[Python]리스트와 Numpy 배열 슬라이싱 방법 (List, slicing, 나누기)

목차 [Python]리스트와 Numpy 배열 슬라이싱 방법 : Syntax 리스트(List)나 Numpy 배열을 조각 내거나 합칠 때 Index 를 사용해서 할 수 있고 동일한 문법이 적용 됩니다. 인덱스(Index) 값은 아래와 같이 정의 됩니다. [start:end] [start:end:step] 콜론으로 2개만 값이 들어가면 시작점과 끝점이고 1개가 더 있을 경우는 step 간격으로 시작 끝점을 표기 한것 입니다. 아래 예제를 통해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ython]리스트와 Numpy 배열 슬라이싱 방법 : [start : end] 예제 코드>> import numpy as np import random a_list = [] for _ in range(10): a_list.append(rand..

[Python]리스트안의 동일 값 개수, 집합, 정렬하기(Numpy.unique)

목차 Numpy Unique 란? 앞서 포스트에서 Numpy를 사용하면 시간을 절얄하고 왜 효율적인지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이번장에서는 Numpy로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nique() Numpy Unique 는 Numpy 배열의 값을 검색해서 동일 값을 정리해거나, 정렬, 개수 확인 등을 해줍니다. Sytax는 아래와 같습니다. numpy.unique(배열값, return_index=False, return_inverse=False, return_counts=False, axis=None) 내부에 option 값은 아래 예제를 통해 쉽게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리스트(list) 안의 정렬하고 동일 값(Same value, element) 구하기 return_index ..

[C++언어]예외 처리 방법 (try, catch, throw)

목차 [C++언어]예외 처리 방법 (try, catch, throw) 파이썬에서 예외 처리 방법으로 try와 except 를 사용합니다. try에서 구문에 에러가 발생해도 except로 넘어가서 처리를 할 수 있게 도와 줍니다. 하지만 C 언어의 try, catch, throw는 파이썬과 달리 문법에 에러가 있으면 진행은 되지 않고 try 안에 프로그램을 테스트 하기 위해 사용 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try 안에 내가 작성한 코드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진행 되면 진행 방향에 throw를 통해 값을 던지고 catch에서는 그 값을 잡아서 원하는 형태로 출력 해 줍니다. try, throw, catch를 다시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try : try 내부에 시험할 코드 블럭을 넣습니다. throw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