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64

[공업수학]오일러 공식(e^(jΘ) = cosΘ+jsinΘ) 이해하고 유도하기(Euler's Formula, Maclaurin Series)

목차 맥클로린 급수(Maclaurin Series) SinΘ, CosΘ 유도 모든 신호는 맥클로린(Maclaurin Series) 급수로 표현이 가능 합니다. 위와 같은 형태로 신호는 표현이 가능 합니다. C0, C1, C2.... 값들은 아래와 같이 미분으로 표현이 가능 합니다. 위 수식을 이용해서 Sin과 Cos을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아래 지수함수를 맥클로린(Maclaurin Series) 급수로 표현해보겠습니다. 위 지수함수를 수식(1)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앞서 식(2)과 식(3)을 사용하면 식(4)를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오일러 공식(Euler's Formula) 속성 식(5)는 cosΘ와 sin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Θ를 각으로 생각하면 ..

[Linux]리눅스 find로 파일 검색하기(size, exec, name, 별표* 사용)

목차 리눅스 파일 찾기 명령어 및 사용방법 리눅스에서 파일을 찾는(Search) 방법은 주로 find 명령을 사용 합니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이 단순 합니다. find 검색위치폴더 옵션 찾을파일이름 검색위치 폴더의 경우 입력하지 않으면 전체 폴더에서 검색을 시행 합니다. 그리고 찾을 파일 이름에서는 윈도우에서 모르는 문자를 대체 하듯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name : 찾을 파일 검색 -perm : 파일 권한으로 검색 -type : 형태가 같은 파일 검색 -link : 링크 개수가 일치하는 파일 검색 -size: 사이즈로 검색, 파일 사이즈는 b(블록), c(바이트), k(킬로바이트), w(워드단위, 2바이트) -user : 사용자로 검색 -exec : 검색된 파일에 추가 ..

[라즈베리파이]Raspbery Pi에서 파이썬 처음 실행해보기(Python)

파이썬(Python)이란? 파이썬은 인터프리터(Interpreter) 언어로 C언어와 같이 컴파일러(Compiler)를 사용하는 언어와는 효율성에서 다릅니다. 인터프리터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말 그대로 해석을 해서 바로 실행을 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C와 같은 컴파일러의 언어들은 컴파일(Compile)이라는 단계를 거쳐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해서 실행을 해야 합니다. 대신 컴파일은 인터프리터 처럼 미리 해석을 위한 처리가 필요 없어서 언어 자체가 가볍고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효율 적이고 빠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 파이썬도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제공 되어 효율적이고 빠른 코드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맞춰 제작을 해주..

[전기전자]캐패시터, 콘덴서, 캐패시턴스, 리액턴스란?(Capacitor, Capacitance, Condensor, Reactance)

목차 [전기전자]캐패시터, 콘덴서란? 캐패시터(Capacitor), 콘덴서(Condensor)는 동일한 말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입니다. 위 사진은 다양한 종류의 캐패시터 입니다. 위 그림은 전자 회로도로 직류 전원과 캐패시터가 연결되었을 때 입니다. 위 그림처럼 캐패시터의 판에 전하가 저장됩니다. 그리고 판사이에 유전체(Dielectric)가 있어서 전류가 흐를 수는 없습니다. [전기전자]캐패시턴스 란? 앞서 회로에서 Capacitor가 저장할 수 있는 정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Q = C x V 여기서 Q는 전기량으로 클롬이라고 하고 단위는 C를 사용합니다. C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의미 합니다. 캐패시턴스는 캐패시터의 능력이라고 볼 수..

[Linux]리눅스 쉘스크립트란? 사용 방법, 예제(Shell Script, 셸)

목차 리눅스(Linux) 쉘스크립트란? 쉘스크립트(Shell Script, 셸스크립트)는 Shell 명령어들을 텍스트 파일이 모아서 실행해주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언어나 파이썬(Python)과 같이 코드를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합니다. 이때 실행하는 명령어들이 Shell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Shell Script를 사용하는 장점은 컴파일이 필요없이 리눅스(Linux) 환경에서 셀을 인터프리터(Interpreter)로 바로 해석해서 실행해주는 장점이 있어서 간단한 명령을 구현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리눅스(Linux) 셸스크립트 사용 방법 스크립트 텍스트 파일은 아래와 같이 시작 합니다. #!/bin/bash #!의 의미는 해당 스크립트(텍스트) 파일은 실행 파일로 인식 시킵니다. ..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란?

목차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란? PWM 제어란 전자 장치에 전달되는 평균 파워양을 펄스의 너비(Width)를 조절해서 원하는 값으로 전달하는 제어 방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5V 전압을 유지하는 DC 전원이 있다면 위 그림과 같이 50%의 Width로 전달 된다면 평균은 2.5V가 전자 장치로 전달되게 됩니다. 위와 같이 Width로 평균전압 전달을 제어하는 방법을 PWM 제어라고 합니다.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 예제 위 그림과 같이 DC 모터(Motor)가 스위치(Switch)를 사이에 두고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모터의 속도는 아래와 같이 정의 됩니다. R는 모터 내부의 기생 저항이고 파이는 자속입니다. 여기서 V(전압) 값을 조절..

[Linux]리눅스 환경변수, 쉘이란?(Shell, echo, env, export, bashrc, Environment variable)

목차 리눅스 환경변수, 쉘이란?(Shell, Environment variable) 환경 변수란 리눅스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자동으로 셸/쉘(Shell)이 실행되면서 사용환경을 구축합니다. 이때 Shell을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면 스마트 아파트에 사용자가 들어가면 사용자를 인식해서 기본적으로 에어컨으로 온도를 조절 해주고 커튼을 열어주고 공기 청정기를 켜주는 시스템이 있다고 생각하면 각 사용자마다 설정해 놓은 스마트 기능이 다를 것입니다. 여기서 에어컨이나 청정기와 같은 장치를 Shell이라고 생각하시고 아파트는 리눅스 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리눅스를 시작하면 모든 사용자들이 대부분 공통적으로 실행되는 환경 변수들이 있는데 해당 환경 변수..

[Linux]리눅스 프로세스 포그라운드, 백그라운드란? 사용방법(foreground, background, kill, ps, process)

목차 리눅스 포그라운드, 백그라운드란(foreground, background)? 리눅스는 쉘(셸, Shell) 명령어로 프로세스가 실행됩니다. 이때 Shell 은 기본적으로 포그라운드(Foregournd)로 실행됩니다. 포그라운드는 명령어가 프롬프트를 빠져나오지 못하고 프로세스가 완료 되거나 다른 입력을 기다려야 합니다. 반면에 백그라운드(Background)는 명령어가 Shell Prompt를 빠져나와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Shell에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Shell이 기본적으로 포그라운드에 실행되는 데 명령어 끝에 &(And) 기호를 붙이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합니다. & 또는 이미 진행중인 프로세스에 bg 명령을 입력 해서 Background로 변경하고 이 것을 다시 fg를 입력해서..

[Linux]리눅스 시스템 자원, 메모리, 프로세스 사용량 확인하기(모니터링)

목차 시스템 자원(System Resource) 관리 확인하기 시스템 자원 관리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top top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번 줄 : 동작 시간, 사용자 수, 부하 평균값 2번 줄 : 전체 프로세서 수, 동작, 슬립, 중단, 좀비 프로세스의 개수 3번 줄 : CPU의 가동을 백분률로 표기 4번 줄 : 메모리 정보 5번 줄 : SWAP 공간 정보 이하 : 프로세스 정보 메모리 자원(Memory Resource) 관리 확인하기 메모리 자원에 대한 상세 내용은 free 명령어로 확인 가능 합니다. free 프로세스 자원(Process Resource) 관리 확인하기 프로세스는 ps 명령어로 확인 가능 합니다. ps 명령어는 아래의 옵션과 함께 사용할 ..

[Linux]리눅스 grep 정규식으로 검색하기(|, regex, search)

목차 [Linux]리눅스 grep 검색이란? 리눅스에서 grep을 사용해서 쉽게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grep은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을 사용하기 때문에 간단한 정규 표현식을 사용한다면 검색이 용이 합니다. 이번 시간에 grep의 옵션 및 기본 정규 표현식 사용 방법 및 간단한 예제 실습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선 grep의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grep 옵션 '정규표현식' 파일명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i :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 -n : 일치하는 줄과 그 줄 번호를 같이 보여줌 정규 표현식 기본 표현 아래는 정규 표현식 사용의 기본 표현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 별표 앞의 문자가 0개 이상 존재 . : 하나의 문자 ^ : 시작하는 문자와 대응 $ : 끝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