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에서 가상환경을 만드는 주 목적은 프로젝트별 내가 설치한 library를 추적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여러 프로젝트를 돌리다 보면 다양한 library를 설치하는데 이를 서버나 다른 PC에 옮길때 virtualenv로 독립된 공간을 만들면 옮기기 용이하다.
설치 방법>>
visual studio 에서 가상환경을 만들 폴더를 만든다.
나는 webgui_project라는 폴더를 만들고
pip install virtualenv
위 명령을 실행해서 virtualenv 를 설치했다. (이미 설치해서 설치되어있다는 결과가 나옴)
virtualenv venv
위 명령어로 해당 폴더에 venv (이름은 사용자 마음대로 변경 가능) 라는 가상환경을 만들었다.
venv 폴더 밑에 일반적인 python 프로그램 아래에 생기는 폴더가 형성됨.
venv\Scripts\activate.bat 로 가상환경을 실행시켜 줄 수 있다.
위 그림처럼 (가상환경명) 으로 가상환경에 들어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ip list 명령어로 어떤 라이브러리를 설치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가상환경에서 나가고 싶을 때는
venv\Scripts\deactivate.bat
를 입력하면 된다.
가끔 virtualenv를 설치하고 바로 실행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visual studio를 껐다 키고 실행하기를 추천한다.
반응형
'파이썬(Python) > 웹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두개의 프로그램으로 쓰면서 읽기 (0) | 2020.12.17 |
---|---|
flask, pyserial 동시에 사용하기 (2) | 2020.12.17 |
post form 으로 보낸 데이터 mongodb에 저장하기 (0) | 2020.12.14 |
MongoDB 기본 명령어 모음, 파이썬 (0) | 2020.12.11 |
데이터 베이스 (DB) 개념 (0) | 2020.12.11 |